━<br /> 크립토 리터러시 ⑧ 암호화폐 사기 유형 세 번째 <br /> 혹시 '가즈아~' 분위기에 휩쓸려 묻지마 투자를 했다가 손해를 본 적 없나요? 암호화폐의 옥석을 가릴 시기입니다. 제대로 투자하려면 기본기부터 다져야 합니다. '올바르고 똑똑한 투자(올똑투)'에선 암호화폐의 기본기를 다져주는 크립토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는데요. <br /> 지난 1~5화에서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쌓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 6, 7화에서는 암호화폐 사기 유형 중 폰지 사기(다단계 금융 사기), 상장 사기에 대해 살펴봤고요. 8화에서는 투자자의 절대적 믿음 또는 부주의를 악용한 스캠 사기에 대해 얘기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검증 없는 절대적 믿음이 초래한 악몽 <br /> 스캠(scam)은 신용 사기를 일컫는 말입니다. 상대와 친밀감을 쌓은 뒤 그 사람의 맹목적 믿음을 악용하는 것이지요. 여전히 빈번하게 이뤄지는 게 '로맨스 스캠'입니다. 이들은 각종 SNS에 허위 계정을 개설해 이성에게 접근합니다. 해외 전문직 종사자로 가면을 쓴 경우가 많죠. 이성과 가까워지면 암호화폐 투자로 수익을 올렸다며 인증하고, 금융 전문가 등의 조언이 뒤따를 거라며 투자를 유도합니다. 처음 몇 번은 일부러 수익을 내게 만들어줍니다. 신뢰감 형성이지요. 이후 더 큰 투자를 유도하며 악의 본성을 드러냅니다. '이런 초보적 수법에 속나' 의구심을 표할 수 있겠지만, 안타깝게도 로맨스 스캠 피해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. 국가정보원 국제범죄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암호화폐를 포함한 로맨스 스캠 사기 피해액만 20억원을 넘어섭니다. <br /> <br /> 암호화폐 스캠 사기의 대표 격으로 '러그 풀'도 있습니다. 쉽게 말해 '먹튀'입니다. 러그 풀은 양탄자(러그·rug)를 잡아당겨(풀·pull) 사람을 동시다발적으로 넘어지게 하는 행위를 일컫는데요.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고 거래소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16612?cloc=dailymotion</a>